신부전증의 주요 증상 (급성 vs 만성 비교 포함)
신부전증은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노폐물과 수분, 전해질이 몸속에 쌓이게 되는 질환으로, 급성(AKI)과 만성(CKD)으로 구분됩니다.
✅ 급성 신부전증(급성 신손상, Acute Kidney Injury, AKI)
갑작스럽게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입니다. 보통 며칠 내 빠르게 진행되며, 원인 치료 시 회복 가능성도 있습니다.
- 소변량 감소 또는 무뇨 (하루 400ml 미만)
- 부종 (얼굴, 다리, 손 등)
- 식욕 부진, 메스꺼움, 구토
- 정신 혼란, 졸림
- 호흡곤란 (폐부종으로 인한)
-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부정맥
✅ 만성 신부전증(만성 콩팥병, Chronic Kidney Disease, CKD)
3개월 이상 신장 기능이 서서히 떨어지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신장의 여과율(GFR)이 점차 감소하며, 말기에는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합니다.
- 피로감, 무기력
- 안색 창백 (빈혈)
- 야뇨(밤에 소변이 잦음), 잔뇨감
- 발목, 손 부종
- 피부 가려움증, 피부색 변화
- 입에서 소변 냄새(요독증)
- 고혈압 악화, 심장질환 동반
참고: GFR(사구체여과율)이 15ml/min 미만이면 말기 신부전으로 분류되며, 투석을 시작해야 합니다.
신부전 환자에게 적절한 음식 (식이요법)
신장 기능이 떨어진 환자는 체내 노폐물 배출이 어려워 식단 조절이 필수입니다. 질병 단계, 혈중 수치, 투석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 섭취를 줄여야 하는 영양소
- 나트륨(소금): 하루 2g 이하. 인스턴트, 국물류, 간장 등 제한
- 칼륨: 바나나, 토마토, 감자 등 제한. 채소는 삶아 우려서 섭취
- 인: 유제품, 가공치즈, 견과류, 콜라류, 내장육 제한
- 단백질:
- 투석 전: 저단백식 (0.6~0.8g/kg)
- 투석 중: 고단백식 (1.2~1.4g/kg)
✅ 권장 식품
- 흰쌀밥, 삶은 감자(우린 후)
- 사과, 배, 수박, 포도 등 저칼륨 과일
- 계란 흰자 (고단백, 저인)
- 양상추, 오이, 애호박 등 수분 많은 채소
- 식물성 기름(들기름, 참기름 등 소량)
주의: 음식 섭취 시 혈액검사 수치에 따라 조절 필요. 영양사 또는 전문의 상담 권장
신부전증의 치료 방법
신부전증 치료는 질병의 종류(급성 vs 만성), 진행 정도,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Ⅰ. 급성 신부전 (Acute Kidney Injury, AKI) 치료
1) 원인 인자 제거
- 탈수, 저혈압: 수액 공급 (생리식염수, 하트만액 등)
- 약물 중단: NSAIDs, 조영제, 항암제 등 신독성 약물
- 감염: 광범위 항생제 투여, 패혈증 프로토콜 적용
2) 전해질 및 산염기 조절
- 고칼륨혈증: 칼슘 글루코네이트, 인슐린+포도당, 푸로세미드 투여
- 산증: 중탄산나트륨 투여
- 저나트륨혈증: 수분 제한, 고장성 식염수 사용
3) 체액 균형
- 체중/수분 기록으로 체액 조절
- 이뇨제 사용: 푸로세미드, 토라세미드
4) 영양관리
- 고탄수화물, 저단백식
- 30~35kcal/kg 에너지 유지
5) 투석 시작 기준
- 소변량 < 0.3ml/kg/h × 24시간 이상
- 혈중 칼륨 > 6.5
- BUN > 100, Cr > 10
- 요독증: 혼수, 출혈, 구토
Ⅱ. 만성 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 CKD) 치료
1) 1~3단계 (초기~중기)
- 기저 질환 조절:
- 당뇨병 HbA1c < 7%
- 고혈압 <130/80 mmHg (ACEi, ARB 사용)
- 신장 보호 약물: RAS 억제제, SGLT-2 억제제
- 단백질 제한: 0.6~0.8g/kg/일
- 정기적 검사: GFR, Cr, 단백뇨 매 3~6개월 확인
2) 4~5단계 (말기 신부전)
- 복합 약물:
- 빈혈: 에리스로포이에틴, 철분
- 인 결합제: 세벨라머, 카르보닐철
- 활성형 비타민 D: 칼시트리올
- 전해질/체액 조절: 저염, 저칼륨식, 이뇨제 사용
- 투석 시작: GFR 15 미만 + 증상 동반 시
- 혈액투석 or 복막투석 선택
- AVF 시술 사전 준비
- 신장이식: 가족 간 or 뇌사자 이식 고려
- 면역억제제: 타크로리무스, 마이코페놀레이트 등
보조 관리
- 심혈관 질환 예방: 스타틴, 아스피린 병용
- 골질환 예방: PTH, 칼슘, 인 수치 관리
- 정신 건강: 만성 질환으로 인한 우울증 → 상담 및 다학제 치료 필요
✅ 결론 및 요약
- 급성 신부전: 조기 치료 시 회복 가능성 높음
- 만성 신부전: 속도 조절, 합병증 예방, 투석/이식 준비 필요
- 식이요법, 약물요법, 정기적 검사, 교육이 통합된 치료 전략 필수